4.1. 내장 DeviceNet Slave 정보와 설정
4.1. 내장 DeviceNet Slave 정보와 설정
내장 DeviceNet Slave 기능은 사용하기 전에 네트워크 파라미터를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F2]: 시스템』 → 『2: 제어 파라미터』 → 『2: 입출력 신호 설정』 → 『13: 내장 DeviceNet Slave 정보와 설정』 항목을 선택합니다.
그림 4.1 내장 DeviceNet Slave정보와 설정 메뉴
* 주의 사항
① BD57x CC-Link기능을 사용중인 경우 내장 DeviceNet Slave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② 내장 DeviceNet Master기능을 사용중인 경우 내장 DeviceNet Slave 기능을 동시에 사용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BD574 보드의 CAN 포트를 사용해야 합니다.
그림 4.2 내장 DeviceNet Slave정보와 설정 화면
n 사용 여부: 내장DeviceNet Slave 기능을 동작시킬 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n CAN 포트: 내장 DeviceNet Slave 기능이 사용할 CAN 포트를 설정합니다.
Ø 메인 보드 CAN 포트: 메인 보드의 CAN포트 사용
Ø BD574 보드CAN 포트: BD574 보드의 CAN 포트 사용
n 통신 속도:
DeviceNet의 통신 속도를 설정합니다. 내장 DeviceNet Slave 에서 사용 가능한 통신 속도는 125Kbps, 250Kbps, 500Kbps입니다.
n 노드 어드레스:
내장 DeviceNet Slave의 MAC ID(노드 어드레스)를 설정합니다. 노드 어드레스 설정 허용 범위는 0~63입니다.
n 입출력 데이터 크기:
내장 DeviceNet Slave의 입출력 데이터 크기를 설정합니다. 입출력 데이터 사이즈의 설정 허용 범위는 1~120입니다.
n 통신 에러 처리:
디바이스넷(DeviceNet) 통신 에러 발생 시 입력 데이터(FB5.X 객체)에 대한 처리 옵션입니다.
Ø 입력 데이터 클리어: 통신 이상 발생 시 FB5.X 객체가 0으로 Clear됩니다.
Ø 입력 데이터 유지: 통신 이상 발생 시 FB5.X 객체가 기존 값을 유지 합니다.
n DeviceNet Slave 상태: 내장 DeviceNet Slave의 네트워크 상태를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