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4. 태그형식
3.4. 태그형식
릴레이 인덱스 중 1비트 데이터는 1비트, 8비트, 16비트, 32비트의 3가지 형식 중 하나로 입력하고 표시될 수 있습니다.
I/O구성표를 참조하십시오. 대개의 경우, 8비트 형식은 ‘B’(Byte), 16비트 형식은 ‘W’(Word), 32비트 형식은 ‘L’(Long)이라는 접미어가 릴레이 종류명에 붙어 있으며 1비트 형식의 경우 접미어가 붙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표 3-1]과 같이 X릴레이의 경우 8비트는 XB, 16비트는 XW, 1비트는 X라는 명칭이 사용되며 그 뒤에 인덱스가 붙습니다.
“X1~X8”로 이루어진 데이터는 XB1이며, “X1~X16” 혹은 “XB1~XB2”로 이루어진 데이터는 XW1입니다.
표 3‑1 X, XB, XW의 관계
| <-상위 하위-> | |||||||||||||||
1비트 | X16 | X15 | X14 | X13 | X12 | X11 | X10 | X9 | X8 | X7 | X6 | X5 | X4 | X3 | X2 | X1 |
8비트 | XB2 | XB1 | ||||||||||||||
16비트 | XW1 |
X12를 예로 든다면, [표 3-2]와 같이 4가지 형식으로 입력할 수 있습니다. 이 4가지 표기는 모두 같은 데이터 비트를 의미합니다.
표 3‑2 X12의 4가지 형식
1비트 형식 | X12 | 12번째 X 비트 |
8비트 형식 | XB2/4 | 2번째 XB 바이트 중 4번째 비트 |
16비트 형식 | XW1/12 | 1번째 XW 워드 중 12번째 비트 |
32비트 형식 | XL1/12 | 1번째 XL 더블워드 중 12번째 비트 |
한가지 예를 더 들면, X31과 XB4/7, XW2/15, XL1/31은 모두 같습니다.
HRLadder는 이 4가지 형식 중 1가지를 선택하여 래더 다이어그램에 보여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보기 - “x 비트 태그형식으로”』 메뉴를 선택하거나, 도구막대의 버튼을 누를 때마다 [그림 3.18]과 같이 표시형식은 1비트 → 8비트 → 16비트 → 32비트로 순환합니다.
1 비트 형식
8 비트 형식
16 비트 형식
32 비트 형식
그림 3.18 1, 8, 16, 32비트 태그형식
사용자가 태그를 입력하면 입력된 것은 항상 현재의 표시 형식으로 바뀌어 입력됩니다. 예를 들어 현재 16비트 표시 형식 모드일 때, 어떤 명령의 태그를 “X51”이라고 입력했다면 즉시 “XW4/3”으로 바뀌어 입력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