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신호키의 조작
2.2. 신호키의 조작
[SHIFT]+[수동출력] 키를 누르면 화면 하단에 설정한 신호키들이 나타납니다.
그림 2.4 키 신호 출력 설정화면
[SHIFT]+[F1]~[F7]키를 눌러 신호키를 조작합니다. (혹은 [SHIFT]키를 누른 채, 화면의 신호버튼을 터치하십시오.)
버튼 상단에 [tgl]이라고 표시된 버튼은 토글버튼이며, 표시되지 않은 버튼은 푸시버튼입니다.
그림 2.3과 같이, 버튼이 노란색으로 변한 상태가 ON된 상태입니다. 신호키를 켜면 설정된 정신호가 동작합니다. 신호키를 끄면 정신호는 꺼지고, 역신호가 동작합니다.
그림 2.5 키 신호가 켜진 상태와 꺼진 상태
그림 2.6 자동모드에서 금지된 키
‘자동모드시 허용’ 옵션을 체크하지 않은 신호키는 자동모드에서느 회색 레이블로 표시됩니다. 이 상태에서는 키를 눌러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자동모드로 전환시 OFF’ 옵션을 체크한 신호키들은 수동모드에서 자동모드로 전환되는 순간 자동으로 OFF됩니다.
ø 신호키는 ON 되는 순간, 그리고 OFF 되는 순간에만 출력신호를 제어합니다. 신호키의 ON/OFF상태가 항상 감시되면서 이에 따른 출력값이 유지되는 것이 아닙니다.예를 들어 신호키를 ON시켜 출력신호가 ON시키더라도, 이후에 로봇언어나 내장PLC, 혹은 수동출력에 의해 출력이 꺼질 수 있습니다. 즉, 신호키가 ON상태인데도 출력신호는 꺼져있는 상태가 있을 수 있습니다.
ø 정신호와 역신호를 함께 사용하면 복동 솔레노이드의 제어를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ø 출력 신호 속성과 연동하여 부논리 혹은 펄스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내장PLC와 연동하면 더욱 복잡한 제어를 신호키로 조작할 수 있습니다.
그림 2.7 [F2: 시스템] - 2: 제어 파라미터 - 2: 입출력 신호 설정 - 2: 출력 신호 속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