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9.2.2. 디지털 출력
5.9.2.2. 디지털 출력
보드는 ON/OFF상태를 출력할 수 있는 8개의 디지털 출력 포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포토MOSFET을 사용하여 외부장치와 전기적으로 절연이 되어 있습니다. 적용범위를 넓히기 위하여, 각 입력은 두 가지의 출력신호공통(output signal common)과 개별적인 접점출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단위 출력의 최대 허용전류는 24V전압에서 125 mA입니다. 따라서 8개 모두의 출력을 사용하면 총 1000mA의 전류가 소모됩니다.
그림5.61 아날로그 보드(BD584)에서 디지털출력용 터미널 블럭
아크용접기(Arc welder)와의 접속은 할당된 출력을 사용하며, 그 내용은 다음의 표와 같습니다.
표 5-34 아날로그 보드(BD584)의 디지털출력 터미널블럭(TBDO1) 핀구성
번호 | 명칭 | 아크용접기 접속용 명칭 | 비고 |
TBDO1 1 | DOUT 1 | TORCH_SW |
|
TBDO1 2 | DOUT 1 COM |
|
|
TBDO1 3 | DOUT 2 | INCHING |
|
TBDO1 4 | DOUT 2 COM |
|
|
TBDO1 5 | DOUT 3 | RETRACT |
|
TBDO1 6 | DOUT 3 COM |
|
|
TBDO1 7 | DOUT 4 | STICK_CHECK |
|
TBDO1 8 | DOUT 4 COM |
|
|
TBDO1 9 | DO_COM1 | Signal Common 1 |
|
TBDO1 10 | DO_COM2 | Signal Common 2 |
|
표 5-35 아날로그 보드(BD584)의 디지털출력 터미널블럭(TBDO2) 핀구성
번호 | 명칭 | 아크용접기 접속용 명칭 | 비고 |
TBDO2 1 | DOUT 1 | GAS_VALVE |
|
TBDO2 2 | DOUT 1 COM |
|
|
TBDO2 3 | DOUT 2 | Reserved 1 |
|
TBDO2 4 | DOUT 2 COM |
|
|
TBDO2 5 | DOUT 3 | Reserved 2 |
|
TBDO2 6 | DOUT 3 COM |
|
|
TBDO2 7 | DOUT 4 | Reserved 3 |
|
TBDO2 8 | DOUT 4 COM |
|
|
TBDO2 9 | WS_A | Analog Wire Stick Check접속단자 A |
|
TBDO2 10 | WS_B | Analog Wire Stick Check접속단자 B |
|
디지털 출력포트의 연결방법은 다음 그림과 같습니다. 4개의 부하를 3개의 형태로 연결하는 방법을 예시한 것입니다. 부하1과 부하3은 SMPS1 전원, 부하 5는 SMPS2 전원, 부하 7은 SMPS3전원을 이용한 구성입니다. 즉 세 개의 다른 전원을 가진 출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보드 내부에 있는 SIP 스위치 SSW3과 SSW4를 설정하여 구분합니다.
예를 들어, 부하 1은 출력포트 1번에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 센서는 SMPS1전원을 사용하므로 9번에 연결된 COMMON전원을 통하여 회로를 구성하여야 합니다. 따라서 SSW3스위치의 1번을 ON시키고 SSW4스위치의 1번은 OFF시켜야 합니다.
부하 7의 경우 COMMON전원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의 SMPS3를 가지고 독립적으로 출력포트를 사용하였습니다. SIP 스위치 SSW3과 SSW4의 7핀 모두를 OFF하고 SMPS3에서 Ground를 직접 터미널블록에 연결합니다.
그림5.62 아날로그 보드(BD584)에서 디지털출력 연결방법
설치순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① SIP스위치 SSW3, SSW4를 모두 OFF시킵니다.
② 부하와 외부전원을 출력터미널블록 TBDO1, TBDO2에 연결합니다.
③ SIP스위치 SSW3, SSW4 설정 :
사용하고자 하는 전원구성을 해당 부하에 맞게 SIP스위치 SSW3, SSW4를ON 또는 OFF합니다.
입력과 마찬가지로 SIP스위치 SSW3과 SSW4는 보드 내부에서 다음과 같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림5.63 아날로그 보드(BD584)에서 디지털출력의 Common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