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1.4. 조작
7.1.4. 조작
용접 데이터 모니터링 화면은 『[F1]: 서비스』→『1:모니터링』→『13: 아크용접 데이터』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른 방법으로는 기본화면에서 [창조정]키를 이용하여 화면 분할 후 『[F1]: 내용선택』 → 『13: 아크용접 데이터』를 통해서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모니터링 기능을 수행하면 기본적으로 ‘세부정보 모니터링’이 실행됩니다. 모니터링 기능은 [F5]키를 이용하여 전환이 가능하면 전환 순서는‘세부정보 모니터링’→‘용접파형 모니터링’→ ‘대화면 모니터링’ →’세부정보 모니터링’…… 순서로 순환합니다.
‘대화면 모니터링’의 자동 pop-up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F2: 시스템]』 → 『4: 응용 파라미터』 → 『2: 아크용접』 → 『16: 용접 중 모니터링 자동활성』에서 유효로 설정해야 합니다.
용접 파형 모니터링의 확장 기능은 파형의 현재 시점 대비 과거(좌), 미래(우)와 높은 전류/전압(상), 낮은 전류/전압(하)를 볼 수 있도록 이동 기능을 제공합니다. 해당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파형 모니터링 화면을 터치하여 활성화한 후 티칭 펜던트의 [상/하/좌/우] 커서를 누르면 그래프가 이동합니다. 과거(좌)나 미래(우)로 많은 양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 [SHIFT]+[좌] 또는[SHIFT]+[우]를 누르면 [SHIFT]를 누르지 않을 때에 비해 10배 많은 양을 이동합니다.
세밀한 파형을 보기 위한 확장은 [SHIFT]+[상]을 누르고, 전체적인 개괄 파형을 보기 위한 축소는 [SHIFT]+[하]를 누르면 됩니다. 과거 데이터를 보는 중 바로 현재 데이터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ENTER]를 누르면 현재 화면으로 복귀합니다.
그림 7.4 Arc 용접 파형 모니터링 확장 기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