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3.6. 손목 축 부하 허용치

3.6. 손목 축 부하 허용치

 

로봇의 손목축 선단에 부착될 부하는 허용 중량, 허용 부하토크, 허용 관성 모멘트에 의해서 규제 됩니다.

 

 허용 가반 중량 :

 

31 허용 가반 중량

로봇 모델

허용 가반 중량

HS165DC

1,619N (165kgf) 이내

 

 허용 부하 토크

 

32 허용 부하 토크

로봇모델

허용 부하 토크

J3축 회전

J4축 회전

J5축 회전

HS165DC

980N·m(100kgf·m) 이내

490 N·m (50 kgf·m) 이내

 

 허용 관성모멘트

 

33 허용 관성 모멘트

로봇모델

허용 관성 모멘트

J3축 회전

J4축 회전

J5축 회전

HS165DC

64.68kg·m²(6.6kgf·m·s²)

17.64kg·m²(1.8kgf·m·s²)

 

 

[그림 3.6]을 참고하여 부하가 허용조건을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여 주십시오.

 

[그림 3.6]은 취부되는 부하가 질점에 있는 경우, 그 질점이 위치할 수 있는 가능 범위를 표시합니다. 하지만 실제 부하(End Effector)가 질점에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각 축의 관성모멘트를 구하여 평가하여 주십시오. 취부되는 부하를 질점으로 생각할 경우의 예를 들어보면,

 

()로봇형식은 【 HS165DC 】이고 취부되는 부하의 중량이 165Kg일 때

 

n  J5축 중심에서의 허용중심위치

  허용토크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R1 (허용토크) / (부하중량

LR1 = 490 N·m / (165Kg×9.8 m/s2) = 0.30 m

 

  허용관성모멘트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R1 (허용관성모멘트/부하중량 )1/2

= (17.64 kg·m2 / 165 kg )1/2 = 0.33 m( > 0.30 m)

 

이상의 결과에서 J5축 중심에서의 거리는 허용 토크에 의해 규제되고, 0.30 m 이내가 됩니다.

 

n  J4축 중심에서의 허용중심위치

 

  허용토크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B (허용토크) / (부하중량

LB = 980 N·m / (165Kg×9.8 m/s2) = 0.61 m

 

  허용관성모멘트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B (허용관성모멘트/부하중량 )1/2

= (64.68 kg·m2 / 165 kg )1/2 = 0.63 m(> 0.61 m)

 

이상의 결과에서 J4축 중심에서의 거리는 허용 토크에 의해 규제되고, 0.61 m 이내가 됩니다.

 

n  Torque Map

 

 

그림 3.6 손목 축 토크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