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6. 손목축 부하 허용치
3.6. 손목축 부하 허용치
로봇의 손목축 선단에 부착될 부하는 허용 중량, 허용 부하토크, 허용 관성 모멘트에 의해서 규제 됩니다.
허용 가반 중량
표 3‑3 허용 가반 중량
로봇 모델 | 허용 가반 중량 |
HA006A/HA006L | 58.8 N (6kgf) 이내 |
허용 부하 토크
표 3‑4 허용 부하 토크
로봇모델 | 허용 부하 토크 | ||
R2축 회전 | B축 회전 | R1축 회전 | |
HA006A | 11.8 Nm (1.2kgf·m) 이내 | 9.8 Nm (1.0kgf·m) 이내 | 5.9N·m (0.6kgf·m) 이내 |
HA006L | 39.2 Nm (4 kgf·m) 이내 |
허용 관성모멘트
표 3‑5 허용 관성 모멘트
로봇 모델 | 허용 관성 모멘트 | ||
R2축 회전 | B축 회전 | R1축 회전 | |
HA006A | 2.65 kgm²(0.27kgfms²) | 2.65 kgm²(0.27kgfms²) | 0.59 kgm²(0.06kgfms²) |
HA006L | 0.88 kgm²(0.088kgfms²) |
표 [3-3]~[3-5]를 참고하여 부하가 허용조건을 초과하지 않도록 사용하여 주십시오.
[그림 3.12, 3.13]은취부되는 부하가 질점에 있다고 생각되는 경우에 그 질점이 위치할 수 있는 곳의 가능한 범위를 표시합니다. 그렇지만,실제 부하(End Effector)가 질점에 있는 경우는 거의 없으므로 각 축의 관성모멘트를 구하여 평가하여 주십시오. 취부되는 부하를 질점으로 생각할 경우의 예를 들어보면,
(예)로봇형식은【HA006A】이고 취부되는 부하의 중량이5.74Kg일 때
그림 3.12 2차원 부하 모델
M - 부하 중량
JXX - 부하 무게 중심에서 X축 방향의 관성 모멘트
JYY - 부하 무게 중심에서 Y축 방향의 관성 모멘트
JZZ - 부하 무게 중심에서 Z축 방향의 관성 모멘트
Ja4 - R2축 회전 중심에서의 관성 모멘트
Ja5 - B축 회전 중심에서의 관성 모멘트
Ja6 - R1축 회전 중심에서의 관성 모멘트
☞ 부하조건: 가로 100mm, 세로 100mm, 두께200mm 의 알루미늄 블록(Mass 5.74kg)
① 허용 토크 제한
B축 기준 무게 중심 위치 LX = 155mm, LY = 0mm, LZ = -25.5mm
토크맵에서 B, R1축 거리 제한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B축 기준
R1축 기준
② 허용 관성 모멘트 제한
무게중심에서 부하의 관성 모멘트 JXX=0.024kgm2, JYY=0.01kgm2, JZZ=0.024kgm2
B축 관성 모멘트 (Ja5)
R1축 관성 모멘트 (Ja6)
③ 결론 : 중량, 토크, 관성모멘트 조건 모두 제한 조건을 만족하므로 안전합니다.
n R1축 중심에서의 허용중심위치
① 허용토크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R1 ≤ (허용토크) / (부하중량)
LR1 = 5.9 N·m / (5.74Kg×9.8 m/s2) = 0.104 m
② 허용관성모멘트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R1 ≤ (허용관성모멘트/부하중량 )1/2
= (0.104 kg·m2 / 5.74kg)1/2= 0.135 m
이상의 결과에서 R1축 중심에서의 거리는 허용 토크에 의해 규제되고, 0.104 m 이내가 됩니다.
n B축 중심에서의 허용중심위치
(본 로봇은 B축 중심이 같은 축 상에 있고, 또한 허용 부하 토크, 허용 관성 모멘트도 B축, R2축이 같은 값입니다. 따라서 B축의 허용조건을 만족하면, R2축의 허용조건도 만족하게 됩니다.)
① 허용토크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B ≤ (허용토크) / (부하중량)
LB = 9.8 N·m / (5.74Kg×9.8 m/s2) = 0.174 m
② 허용관성모멘트에서 보았을 때의 허용중심위치
LB ≤ (허용관성모멘트/부하중량 )1/2
= (2.65 kg·m2 / 5.74kg)1/2 = 0.679 m
이상의 결과에서 B축 중심에서의 거리는 허용 토크에 의해 규제되고, 0.174m 이내가 됩니다.
n Torque Map
그림 3.13 손목축 토크 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