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 로봇언어에서의 사용
6.2. 로봇언어에서의 사용
로봇언어에서 필드버스 값에 접근하는 예는 [표 6-2]와 같습니다.
표 6‑2 로봇언어에서의 필드버스 접근 예
구분 | 명령문 문법 | 설명 |
출력 | FB3.Y17=1 | FB3 채널의 17번 출력비트 ON |
FB1.YB5=255 | FB1 채널의 5번 바이트의 모든 출력비트를 ON | |
FB1.YW[5+V8%]=&HFC00 | FB1 채널의 (5+V8%)번 워드의 상위 6개 출력비트를 ON시키고 나머지 출력비트를 OFF | |
FB[V4%].YL2=284000 | V4%번 FB 채널의 2번 출력더블워드로 284000을 출력 | |
FB1.YF3=V5!*2.5 | FB1번 채널의 3번 출력실수로 V5!*2.5를 출력 | |
입력 | WAIT FB3.X15 | FB3 채널의 15번 입력비트 값이 ON이 되기를 대기 |
IF FB3.XB2=9 THEN 99 | FB3 채널의 2번 입력바이트 값이 9이면 행 번호 99로 분기 | |
V20%=FB1.XW3 | FB1 채널의 3번 입력워드 값을 V20%에 대입 | |
WAIT FB1.XL5>12000 | FB1 채널의 5번 입력더블워드 값이 12000보다 커지기를 대기 | |
V7!=V25!*FB3.XF3/2.0 | FB3 채널의 3번 입력실수 값에 V25!를 곱하고 2로 나누어 V7!에 대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