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2.1.2. 부가축 정수 설정

2.1.2. 부가축 정수 설정

 

(1)  [F2]: 시스템』 → 『5: 초기화』 → 『5: 부가축 정수 설정』을 선택합니다.

 

 

그림 2.5 부가축 정수 설정 메뉴

 

※ 상기 항목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티치 모드에서 Engineer code( R314 )입력

Motors off상태

■부가축이 있을 때

화면 진입이 가능합니다.

 

(2)  부가축 기계정수를 설정합니다.

 

 

그림 2.6 부가축 정수 설정

 

 

l  Hi5제어기는 총 6축의 부가축을 설정할 수 있으나, 서보핸드축으로 설정은 한 개 축만 가능합니다.

 

 부가축 정수 설명

 

(1)  축 사양

부가축 종류를 <베이스, 서보건, 포지셔너, 지그, 서보핸드>중에서 선택합니다.

부가축 사양을 결정할 때는, 논리적인 부가축 순서에 따라[베이스 → 서보건 → 포지셔너 → 지그 → 서보핸드] 순을 지켜야 합니다.

 

(2)  축 구성

축의 동작형태와 방향을 선택합니다.

직동 베이스축(주행축)인 경우, /후축 주행이면<X>, /우축 주행이면 <Y>,/하축 주행이면 <Z>로 선택합니다.

베이스축이 로봇 좌표계와 동일한 방향으로 설치되지 않은 경우는<임의>로 선택하고 『베이스축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합니다.

회전 베이스축도 직동 베이스 축과 같이 Rx/Ry/Rz를 선택하거나, <임의>로 선택하여 『베이스축 캘리브레이션』을 실행합니다.

서보건을 설정하는 경우는 『서보건 기능설명서』, 포지셔너를 사용하는 경우는 『포지셔너동기 기능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3)  축 위치

부가축의 물리적인 구성을 사용자가 지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BD      =[1](1~2)       => BD542보드의 번호를 지정합니다. (2DSP/1Board)

DSP     =[1](1~2)      => BD542보드내의 DSP의 번호를 지정합니다. (4Axis/1DSP)

Axis    =[4](1~4)      => 축번호를 지정합니다.

) 7번 부가축을 설정하기 위해서 1,1,4로 지정하였다면..

기본축 6 - 3(1 BD542, 1 DSP, 1~3)

손목3(1 BD542, 2 DSP, 1~3)

부가 1(1 BD542, 1 DSP, 4번축)

 

(4)  감속비

모터 회전수당 축의 이동 량을 등록합니다.

직동축은 모터 회전수당 축 이동거리를 mm, 회전축은 모터 회전수당 축 회전각도를 deg로 등록합니다. 부호는 모터의 정방향(엔코더가 증가하는 방향)이 축 동작방향과 일치하여 부가축 좌표치가 증가하면 “+”이고, 반대로 좌표치가 감소한다면 “-“로 정합니다.

아래 예시를 참고하십시오.

 

1) 1/100감속기만 사용하는 회전축이라면,

모터 100회전에 축이360deg회전하므로,

감속비 = + 360 / 100 [deg/rev]

2) 1/20감속기와PCD 110mm인 랙피니언을 사용하는 직동축이라면,

모터 20회전에 110xPhi(=3.14159)=345.5749[mm]를 이동하므로

감속비 = + 3455749 /200000 [mm/rev]

3) 1/5 감속기와Lead 5mm인 볼스크류를 사용하는 직동축이라면,

모터 5회전에 축이5mm이동하므로

감속비 = + 5 / 5 [mm/rev]

 

(5)  소프트리밋

로봇 유효동작영역(부가축 소프트 리미트)을 설정합니다.

직동축은 [mm]로 회전축은 [deg]로 설정하면 『[F2]: 시스템』 → 『3: 로봇 파라미터』 → 『3: 소프트웨어 리미트』에 설정 값이 반영됩니다.

 

(6)  AMP 사양

부가축에 사용할 AMP의 사양을 선택합니다.

IPM 기호태를 선택하고 Hall Sensor 사양을 숫자 0-5 로 입력하여 AMP 사양을 선택합니다. AMP의 형식 사양은 다음과 같습니다.

 

IPM 기호와 Hall Sensor 기호에 따라 아래의 정격 용량을 갖습니다.

 

AMP Model

IPM 기호

IPM 전류정격

Hall Sensor

Full Scale 전류

대형

L

150Apeak

0

140.62Apeak

X

100Apeak

1

93.75Apeak

Y

75Apeak

2

46.87Apeak

Z

50Apeak

3

28.12Apeak

 

 

4

18.75Apeak

 

 

5

9.37Apeak

소형

A

30Apeak

3

28.12Apeak

D

10Apeak

4

18.75Apeak

 

 

5

9.37Apeak

 

(7)  Motor 사양

부가축에 사용되는 모터 사양을 선택합니다.

모터의 용량을 먼저 선택하고, 모터 사양을 선택합니다.

 

(8)  가감속 파라미터

부가축의 최고속과 가속시간을 설정합니다.

여기서 설정한 값은 『[F2]: 시스템』 → 『3: 로봇 파라미터』 → 『34: 가감속 파라미터』에 설정하는 것과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부가축의 최고속을 사용자가 지정하지만, 모터 정격속도에 따라 제한됩니다.

부가축 동작 중 진동이 발생하면 가속시간을 조정해야 합니다.

 

 

 

l  베이스축, 서보핸드축을 동시에 설정할 때에는 베이스축, 서보핸드축의 순서로 부가축을 등록하여 주십시오.

 

l  부가축은 최대 6축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l  서보핸드축은 1축만을 등록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부가축을 설정하는 예입니다.

 

21 [ 1] 서보핸드축만 설정하는 경우

부가축

축사양

핸드번호

1

서보핸드

1

 

22 [ 2] 베이스축 + 서보핸드축

부가축

축사양

핸드번호

1

베이스

-

2

서보핸드

1

 

 

l  멀티 서보핸드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l  부가축 및 서보파라미터 설정이 완료되면 제어기의 주전원을 재투입하여 엔코더 관련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이때, 에러가 발생하면 『제어기 보수설명서』를 참조하여 주십시오.

 

l  서보핸드축에 에러발생 없이, 정상이 되었을 때 엔코더 보정을 실행합니다.

엔코더 보정이 완료된 후 모터에 전원을 공급(모터ON)하고, 부가축을 저속으로 움직이면서 Bit정수가 정확한지 확인합니다.

Bit정수의 확인은, 서보핸드가 이동한 실 거리와 모니터기능의 축데이터에서 표시된 서보핸드축의 데이터와 동일한지 비교하는 것입니다.

 

l  수동속도 및 자동운전 시 진동 및 떨림이 발생하면 기구적 조립상태의 점검 및 튜닝(가감속,게인)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