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7.1. 기능

7.1. 기능

 

위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6.1에서 설명한 위빙 형태의 궤적이 생성될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위빙 좌표계가 필요합니다. 설정된 위빙 좌표계는 위빙 기능의 세부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서도 사용이 됩니다.

기본적으로 위빙 동작을 시작할 때 로봇 좌표계의 z축을 벽방향으로 하고, 용접 시작점으로의 접근점과 진행방향을 이용하여 위빙 좌표계(직각 좌표계)가 자동으로 생성됩니다.

하지만 접근점의 위치와 모재의 형태, 위치 등에 따라 위빙 좌표계를 생성할 수 없는 경우나 기본적으로 설정된 위빙 좌표계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 벽방향과 타방향의 각도가 90도가 아닌 경우)가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참조점 기능을 이용하면 원하는 위빙 좌표계를 생성하여 위빙 형태를 모재에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그림 7.1 위빙 좌표계

 

 

(1)  REFP 1 (참조점 1)

REFP 1은 벽방향을 지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먼저 모재위의 한 점을 REFP 1로 기록합니다. 그러면 용접선(직선ⓢⓔ)과 참조점1로 하나의 면을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면을 벽 방향 기준으로 지정하여 위빙을 실행합니다. 참조점 1만 설정한 경우 타방향은 설정된 벽방향을 진행방향 기준으로 90도 회전한 방향으로 자동 설정됩니다. ‘벽방향토치자세기준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하지 않습니다.

 

(2)  REFP 2 (참조점 2)

위빙이 실행되는 사분면(quadrant)을 선택하여 타방향을 결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REFP 2는 해당 사분면 상의 임의의 점을 기록하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접근점이 있는 쪽으로 타방향을 선택합니다. [그림 7-1]은 두 모재 사이의 공간 상에 참조점 2를 기록했을 때 설정되는 위빙 좌표계의 예시입니다. 참조점2만 설정한 경우 로봇 좌표계의 Z축을 벽방향으로 하여 타방향이 설정됩니다. 진행방향은 위빙 시작점으로부터 위빙 종료점으로 진행하는 방향입니다.벽방향토치자세기준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하지 않습니다.

 

(3)  REFP 3 (참조점 3)

로봇은 정지하고 포지셔너만 회전하는 정지위빙에서 위빙의 진행방향을 지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4)  REFP 4 (참조점 4)

벽방향과 타방향의 각도를 설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그림 7-1] 90도로 설정했을 때의 예시입니다. 이 명령어를 이용하여 각도를 지정하는 경우 [기본 패턴] à [각도]에서 설정한 값은 무시됩니다.

벽방향토치자세기준으로 설정한 경우 사용하지 않습니다.

 

(5)  참조점이 없을 경우 방향 결정 기준

 

-   벽방향: 로봇좌표계의 Z방향

-   수평방향: 벽으로부터 접근점이 있는 측면을 향하는 방향

-   진행방향: 위빙 시작점으로부터 종료점으로 진행하는 방향

 

 

그림 7.2 위빙 방향과 참조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