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2.1.1. HiNet의 설정

2.1.1. HiNet의 설정

 

협조제어 기능을 유효로 하고 그룹 번호와 로봇 번호를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합니다. 그룹은 최대 6, 로봇은 각 그룹당 4대씩 설정 가능하여 최대 12대까지 HiNet에 접속할 수 있습니다.

 

 

 

[F2]: 시스템』 → 『2: 제어 파라미터』 → 『9: 네트워크』→ 『3: 서비스』→ 『1: 협조제어』를 선택하여 아래와 같이 협조제어 기능을 유효로 설정하고 그룹번호와 로봇 번호를 설정합니다. 동일 그룹 내에서 로봇번호가 중복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설정합니다.

 

 

설정 후 해당 로봇의 설정상태와 HiNet 네트워크 상태를 다음의 방법으로 확인하십시오.

 

   1)   로봇의 협조제어 설정상태

협조제어 설정 후 재부팅을 수행하면, 오른쪽 상단에 협조제어 설정상태가 표시됩니다.

I:G#R#의 형식으로 표시되며, G는 그룹번호를 나타내고, R은 로봇번호를 의미합니다.

 

   2)   해당 그룹의 HiNet네트워크 상태

[F1]: 서비스』 → 『1: 모니터링』 → 『10: 협조제어 데이터』→ 『1: 협조제어 상태』를 선택하면 화면 오른쪽에 동일 그룹의 로봇 1~4의 상태가 나타납니다. 이때 ‘----‘와 같이 표시된 로봇은 협조제어 네트워크에 참여하지 못한 네트워크입니다.

 

 

   3)   전체 로봇의 HiNet 네트워크 상태

[F1]: 서비스』 → 『1: 모니터링』 → 『10: 협조제어 데이터』→ 『2: HiNet I/O를 선택하면 화면 오른쪽에 HiNet I/O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이 상태에서 [F5]: 전체 구성』을 클릭하면 HiNet-IO 연결상태 창이 출력됩니다. 이때 초록색으로 표시된 로봇이 협조제어 네트워크에 참여한 로봇입니다.

 

 

 

각 상태확인 창에 정상적으로 표시되지 않을 시, 해당 로봇의 전원을 재투입하여 정상적으로 표시되는지 확인하십시오. 전원을 재투입 하여도 해결되지 않는 경우는 협조제어의 설정과 네트워크 연결선의 불량 등을 점검하시기 바랍니다.